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동기부여에 관련한 포스팅을 하기 위해 찾아온 '인생시바' 입니다. 산뜻한 봄이 찾아오고 있어 괜히 아침에 일어나기 싫고 더욱이 출근도 하기 싫어지는 계절이기도 한데요. 이런 푸근한 날씨와 더불어 아침에 빨리 일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의 특징과 이런 사람들이 빨리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이렇게 포스팅을 합니다.
5분의 투자로 여러분들의 습관이 바뀔 수 있으니 꼭 5분만 투자해서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정해진 시간에 잠자리에 눕고 일어나라>
아침 일찍이 기상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규칙적인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상 처음이 힘들지만, 계속 적응을 해나가다 보면, 자야 할 시간에 잠이오고 일어나야 할 시간에 자동으로 눈이 떠지게 됩니다. 인체는 항상 적응을 하는 습성이 있어서, '나'만의 루틴을 꾸준히 이어나간다면, 몸이 알아서 적응을 하게 됩니다. ( 3일 습관은 평생의 습관이 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내가 자는 곳을 최대한 어둡게 만들어라>
평소 잡생각이 많으시거나,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잠을 깊게 청하지 못할 경우 아침에 일어나는 것은 매우 힘들 수 있습니다. 잠을 잘 때 수면 등을 켜놓거나, TV or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보게 되면 숙면을 돞는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멜라토닌 호르몬은 어두운 환경에서 분비가 잘 되기 때문에 방안은 최대한 어둡게 조성하도록 합니다.

<스트레칭을 해보자>
대부분 TV프로그램이나, 책들에서 나오는 아주 기가막힌 방법 중에 하나 입니다. 머릿속으로는 일어났다고 생각을 하고 있는데 막상 몸이 내맘대로 따라주지 않는 경우가 있죠. 그리곤 다시 잠을 청하는 경우가 많은데 잠에서 깨어 났을 때에는 곧바로 가볍게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꼭 일어나서 하지 않더라도 앉아서 가볍게 하는 기지개, 누워서 다리 뻗기 등을 하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스마트 폰을 최대한 내 잠자리와 멀리둬라>
수면을 취하기 전, 스마트폰은 최대한 '나'와의 거리를 멀리두고 잠을 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을 머리와 가까운 곳에 두고 취침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분들은 보통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보다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앞서 말씀드렸 듯 빛으로 인해서 호르몬 분비를 방해하고 뇌를 활성화 시키기 때문에 최대한 멀리 두고 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자고 일어나서 미지근한 물을 마셔라>
아침 공복상태에서 물을 마시면 잠을 깨는 것에 있어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이로운 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합니다. 우리는 수면을 취하는 동안 생각보다 많은 양의 땀을 흘리고, 쉬지 않고 호흡을 하기 때문에 몸의 수분이 많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자고 일어났을 때에는 곧바로 미지근한 물 한잔을 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면의 질을 개선해보자>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위해서는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사람은 7~8시간 정도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하는데, 만약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면 아무리 충분한 잠을 잔다고 해도, 피로가 가시지 않고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조금 정리를 하자면, 잠자기 전 최소 3시간전에 식사를 마치고, 규칙적인 수면 시간 갖기, 방안은 어둡고 조용하게 조성하기, 올바른 수면자세로 자는 습관들이기 이렇게만 진행을 하신다면 전보다 더 좋은 규칙적인 생활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항상 여러분들의 미래를 응원하고 있습니다. 진로쪽의 고민이라던지,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인생시바'를 찾아주세요. 우리 모두 성공하자 시 - 바
'동기부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과 자격요건 (0) | 2022.04.07 |
---|---|
중소기업에 다닌다면, 꼭 해야 하는 복지 혜택 내일채움공제 신청으로 돈 모으세요. (0) | 2022.04.05 |
공부 집중하는 방법, 집에서 100% 재수 편입 준비 하는 방법 (0) | 2022.03.29 |
2022년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과 지원금 (0) | 2022.03.24 |
서울 거주 청년들에게 알리는 2022년 서울 청년 수당 참여자 모집 (0) | 2022.03.22 |